통영활어시장, 나의 비겁

통영 중앙시장이 활어가 싸다길래 가봤다. 중앙시장은 활어시장과 붙어 있는데 항구의 출입구와 바로 맞닿은 곳은 통영활어시장이고 바로 옆에 중앙시장이 있다.

IMG_4330
통영시장 앞 통영항
IMG_4331
이순신 컨텐츠로 밀어부치는 느낌. 활어시장 입구

통영활어시장은 위치로 봐서는 그야말로 항구에서 막 잡아온 활어를 받아다 팔 수 있을 것이다. 항구 바로 앞에 주차장이 있고 4차선 도로 앞에 활어시장이 있다.

통영활어시장만큼 싼 곳이 없다길래 회를 먹으러 갔다.

시장 한 가운데 쪼그려 앉은 아지매들이 소쿠리에 각종 바닷고기를 놓고 흥정을 한다. 감성돔, 민어, 점성어, 도다리, 능어, 송어, 제철에 올라오는 온갖 고기들이 있다.

 

IMG_4346
입구쪽과 안쪽 가격이 조금 다를 수도 있다. 생선을 잘 아는 사람이 흥정을 잘 해야.

IMG_4355IMG_4358

생선을 고르고 흥정을 마치면 아지매들이 잽싸게 회를 뜨기 시작한다. 생선을 도마에 놓고 칼로 정확하게 뼈를 발라낸 뒤 껍질과 살점 사이에 칼을 집어넣어 살살 밀다가 손으로 생선 껍데기를 확 벗겨낸다. 비늘을 다듬고 자시고 할 시간이 없다. 껍질과 내장, 뼈를 다 발라낸 생선은 소쿠리에 다시 넣어 물에 헹군다. 아지매마다 수도꼭지를 하나씩 가지고 있고 콸콸 물이 나온다. 모두들 어부바지와 장화를 신고 있다. 목욕탕의자만큼 작은 의자에 앉은 아지매가 허리를 펴지 못하고 구부정한 상태로 엉거주춤하게 일어났다 앉으며 회써는 도마를 초벌손질 도마 위에 올린다. 포장비닐 안에 들어있는 흰 수건 위에 손질을 마친 생선을 올려 물기를 꽉꽉 짜낸다. 오로지 악력으로 물기를 짠다. 다시 살점을 꺼내 흰 도마위에 얹고 먹기 좋게 회를 썰어준다. 배바지는 배바지대로, 세꼬시는 세꼬시대로. 흰색 스티로폼 도시락에 대나무포장재를 얹은 위에 횟감을 썩썩 얹는다. 매운탕을 먹을거냐고 묻고 먹을 거라 하면 뼈는 다른 흰 비닐봉투에 얹어준다. 흰 비닐에 각각 도시락을 담고 검은 봉투에 한 번 더 담아주면 아지매의 역할은 끝난다.

 

우리가 감성돔 한 마리에 도다리 세 마리를 삼만원 주고 사서 회를 썰고 있는 사이, 비어 있던 옆자리의 주인이 나타났다. 분명히 통영 사투리인데 이야기가 심상치 않다.

“니 어데 갔다왔노? 고기를 이래 놓고 몇 시간을 안 나타나면 우짜노? 오다가 뭔 일 났는지 알았다.”우리 회를 써는 아지매가 옆 자리 여자를 보고 말한다. 옆 자리에 나타난 여자는 야구모자를 쓰고 안경을 쓴 젊은 여자다. 시장에서 제일 젊은 여자로 보였다.

“아가 아파가지고예. 캄뽀디아에 전화를 했는데예. 전화가 안되지 뭡니까. 아 그래가지고예. 전화를 계속 하고 머 이래 이래 하다가, 연락이 안 되가꼬.” 여자가 하는 말을 나는 못 알아듣겠는데 부산 출신 동행은 들으며 웃고 있고, 앞자리 옆자리 아지매들은 빠른 사투리로 지청구를 했다. 앞자리에서 해산물을 팔던 아지매가 고개를 숙이며 중얼댔다.

“안 오니까는 걱정을 했지. 뭐 사고라도 났는가 싶어가.”

내가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동행을 바라보자 캄보디아 사람인데 애가 아파서 고향에 전화한다고 자리를 비웠다고 해준다. 다시 여자를 보니 이목구비가 좀 달라보인다. 사투리는 제대로였다.

횟감을 들고 시장을 둘러치고 있는 초장집으로 들어간다. 초장집은 1인당 4천원 정도의 상차림비용을 받는다. 음료수와 술값은 별도고, 매운탕은 10,000원을 받는다.

 

초장집 아지매의 말씨가 구성지고 맛깔난다. 원래 장어구이도 하는 집인데 노인네들이 와서 장어값이 비싸네 어쩌네 한다고 짜증이 잔뜩 올랐다.

“할배요. 그거 그리 돈 생각하고 먹으면 다 맛이 없는깁니다. 그냥 먹을 때는 맛있게 자셔야지. 그렇게 비싸네 어쩌네 돈 생각할 거 같으면 딴 데 가이소 마.”

전채음식이 하나도 없어서 해산물이 좀 먹고 싶다 했더니 동행이 1만원을 들고 나가 해삼멍게개불을 사왔다. 해삼은 주로 딱딱해서 잘 못 먹었는데 여기만큼은 오독오독 잘 씹히고 고소했다. 굴은 소량으로 안 판다 해서 맛을 못 봤다.

저쪽 끝에 수도권에서 온 듯한 커플이 앉아 초장집 아지매에게 이런 저런 걸 물었다.

“고등어회가 어디 어디가 맛있다던데, 거기 아세요?”

“어데?”

“ㅇㅇ이라고..”

“거기가 맛나다하요?”

“블로그 봤는데요. 인터넷에 올라온거요.”

아지매가 걸레로 바닥을 훔치며 낮지 않은 소리로 말했다.
“아니 그 집이 맛나다해요? 대체 누가 그런 걸 올린대요? 난 그것이 참말로 궁금하네.”

“어머 아주머니 표정이 안 좋으셔요. 맛 없는집이예요?” 여자가 웃었다.

“마, 가보이소. 가봐야 알제. 뭐든지 다 자기가 묵어봐야 이게 맛나나 안 맛나나 확인이 되제. 가보이쏘. 가보고 댓글 달아보소.”

커플이 가면 안되겠다고 속닥거린다.

여자가 계속 아지매에게 맛집을 물었다.

“시락국은 거가 아이고, 거 말고, 그 대로변에 큰 집이 있어. 거 말고 그 안에 들어가면 쪼만한 데가 있어요. 거가 제대로지. 그 아지매가 서울아지맨가 그래. 그 집 간판? 그 집 간판 없을걸. 간판 못 봤는데? 여보, 당신 그 집 간판 봐쓰요? 못 봤제? 응. 그 집 간판 없다. 없을기다. 낸 본 기억이 없어. 원조는 무슨, 여기 뭐 죄다 원조지 그래 따지면. 60년이고 50년이고, 우리도 여기 24년 됬쓰요. 그럼 뭐 우리도 원조지. 방송 나온 집? 방송 다 나왔쓰. 돈 내고 방송 나오라케. 우리도 아니 초장집도 돈 내고 방송 나오라카대. 안 나간다캤어. 뭔 초장집에서 돈 내고 방송엘 나가. 그 시락국은 일찍 닫아. 새벽 4시에 열고 9시에 닫아. 거가 원래 뱃사람들 먹는 데지. 외지 사람들 먹는 데가 아니예요.

충무김밥은, 명가가 좋다. 거가 재료를 좋은 거 써. 밥이나 김은 다 똑같애. 그 무침 있자나. 반찬. 오징어 이런 걸 존 거 쓴다. 거가 좋고. 꿀빵은 원래 꿀봉이가 원조다. 갸가 그거 하고 나서 돈 좀 번다카니 여기 저기서 따라해가 톳빵이고 뭐고 난리다. 아주.

다찌집? 다찌집은 다 거기서 거기지. 근데 외지사람들이 둘이 가면 사실 다찌집에서 별로 안 좋아해. 그게 왜그냐하믄, 통영 사람들이 술을 엄청 마셔요. 서울 사람들 이런 사람들은 그만큼 못 마셔. 한 상에 4만원 이래 하면, 술을 추가해야 돈이 된다고. 술에다가 안주가 기본으로 나가자나. 술 한 병에 만원 받는데 안주가 새로 나간다고. 근데 둘이 가서 술하고 안주를 먹어봤자 얼마나 먹겠노. 그 집은 술이 계속 나가야 돈이 된다 말이다. 근데 둘이 가서 두 병 마시고 한 상 받으면 그 다 먹지도 몬한다. 여러 명 가서 여러 병 먹어야 좋아하지.

아 택시? 멀다캤는데 가깝드라꼬? 통영사람들이 승질이 급해가 다 그러고 다녀요. 걸어가도 되는데 그걸 못 기다리는기라. 버스도 다른 도시보다 정거장 사이가 짧아. 근데도 그걸 못 참아. 택시 탄다꼬. 버스 정거장 하나 거리가 문 열고 닫는 시간인기라. 승질이 엄청 급해.”

아지매의 말을 들으며 낄낄대느라 불편했던 마음이 모두 사그라들었다. 나는 휴대폰을 열어 아지매가 말하는 식당의 간판을 적었다.

IMG_4373
동피랑 올라가는 길. 다음을 기약하며 패스.

통영에서 그렇게 회를 먹고 동피랑 마을 아래 커피집에서 커피 한 잔을 마시고 집으로 가려고 운전대를 잡았다. 회를 써는 아지매들을 보며 눈물이 나더라고 내가 말했다. 동행은 생선이 불쌍해서 울었냐 할매가 불쌍해서 울었냐고 물었다.

그게 아니라. 그 삶에 대해서, 내가 너무 비겁하게 사는 거 같아 눈물이 났다고 말했다.

수십년을 허리 한 번 제대로 펴지 못한채, 여름엔 더워서 물것이 상할까봐. 겨울엔 추워서 손에 감각을 잃은 채로. 하루종을 물에서 생선을 건지고 또 썰어대던 손목. 그 앞에서 문학이니 예술이니, 모두가 나발이다.

부끄러웠다. 내 삶이. 이렇게 살아도 되나. 선 채로 나불대며 입으로나 떠들고, 앉아서는 모니터 앞에 앉아 헛된 주장들만 쏟아내는 이 따위 삶은 얼마나 비겁한가.

바다와 싸우고 매일 사람과 실갱이 하는 삶을 구경하며, 이따위로 살아도 되나.

뭔가를 하고 있다지만 사실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추상적인 일상 아닌가.

통영은 그랬다. 싸게 회를 먹겠다고 간 도시에서. 나는 한없이 비겁하고 무력했다.

IMG_4387
해지는 통영을 두고 오다

2018년 3월 13일.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