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vop.co.kr/A00001435728.html
2017년 1월이었다.
서울의 어느 노인복지관에서 ‘노인 자서전 쓰기’ 수업을 의뢰해왔다. 나는 그 수업의 보조강사이자 기록자로 참여했다. 복지관의 규모가 커서 수강생도 많았다. 노인들은 대부분 유년기의 기억을 이야기하다 울었다. 그들이 겪은 전쟁은 그저 비참이었다. 누군가 사라지고 누군가와 헤어진 이야기만 이어졌다. 자기를 살뜰하게 챙기다 사라진 아버지를 이야기하던 여성 노인이 펑펑 울었다. 노인들의 서사는 유년기에서 오랫동안 맴돌았다.
두꺼운 점퍼를 입고 맨 뒷자리에 앉아 글쓰기 교재를 뒤적거리던 남성 노인이 나에게 말을 걸었다.
“내 인생은 실패입니다.”
강사로서의 역할은 포기하려는 사람에게 포기하지 말라고 다독이는 일인지라 나는 그에게 최대한 친절한 표정을 지으며 말했다.
“실패인지 아닌지 이야기를 들어봤으면 좋겠는데요.”
그는 슬며시 웃더니 말을 이었다.
“다들 뭔가를 이뤘어요. 일이 있거나, 자식이 있거나. 여기 책에 있는 사람도 그렇고. 사람들이 살다 보면 뭐 하나라도 이룬단 말이죠. 하지만 나는 정말 아무것도 없습니다. 나는 전혀 그런 것이 없습니다. 아무 것도 해 놓은 것이 없어요. 내 인생은 완전히 실패예요.”
나는 짓궂은 표정으로 “아닐걸요.”라고 말하고 웃었다.
“정말이에요. 나는 다 실패. 모든 게 다 실패.”
2017년 1월이었다. 나는 그에게 성공한 사람들은 오늘 모두 청문회장에 앉아 있다고 말했다. 굵은 주름이 남은 굽은 손가락으로 노인은 얇은 글쓰기 교재를 쥐고 가만히 있었다. 듣고 싶은 이야기가 남은 듯했다.
다른 노인들은 교실을 빠져나가고 있었다.
나는 몸을 숙여 그의 앞에 다가갔다.
“아버님, 우리 모두 다 죽잖아요. 인생에 성공이 어딨어요. 모두 다 죽는다는 건 결국 다 실패한다는 말이잖아요. 아닌가요?”
노인이 허허허, 소리를 내며 웃었다.
“나는 다 실패여….”
“어떻게 실패했는지 알려주세요. 그럼. 실패인지 아닌지 좀 보게요.”
노인이 환하게 웃었지만 어이가 없는 것인지, 기분이 나아진 것인지 알 수 없었다.
굽은 허리를 일으켜 노인이 나에게 목례를 했다.
그는 다시는 그 수업에 나오지 않았다.

그를 다시 만나지 못했다. 다시 만나지 못한 사람이지만 그의 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오늘도 얼마나 많은 노인들이 “내 인생은 처음부터 끝까지 실패”라고 뇌까리며 형광등을 켜둔 채로 모로 누울지, 나는 알 수 없다.
노인들을 만날 때마다 이 사람의 이야기를 한다. 모든 것이 실패였다고 말한 사람이 있었다고.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성공”은 무엇이냐고. 헤어진 그 사람에게 말하고 싶어 이 칼럼을 시작한다.
당신의 인생은 실패도 성공도 아니라고. 나도 비슷하게 살고 있다고. 당신의 이야기를 듣고 싶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