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바라지 골목은 사라져버렸다. 높게 둘러친 펜스를 따라 독립문초등학교 앞에서 골목을 찾는다. 독립문 초등학교는 오늘 입학생 예비소집일인가보다. 지킴이 아저씨가 어린이와 엄마들을 맞이하고 있다. 한 아이가 두리번거리자, 혼자 왔느냐고 물었다. 아이는 할머니와 같이 왔다고 저어기, 오고 계시다고 대답했다.
골목을 내려간다. 천주교 무악동 선교본당이 있다. 낮은 기와지붕, 나무대문을 밀고 들어선다.
노인들을 만나러 간다. 분명히 대부분 여성일테지.
서까래가 있는 대청마루에 어디선가 진동이 올 때마다 문이 흔들리는 유리달린 나무문틈으로 찬바람이 스며든다. 88년쯤, 드라마에서 흔히 보던 마당이 있는 한옥집. 마당엔 성모상이 있다.
할머니들이 미리 모여 명찰을 달고 두런두런 얘기하는 소리가 들린다. 할머니를 따라 온 어린아이가 지루함을 참아내려 애쓰고 있다. 방학은 모두에게 쉽지 않다. 예상대로 남자노인은 없다. 나이를 먹어가며 사람의 내공을 알아채는 신묘한 기술이 나에게도 생겼다. 활동가의 내공이 강하게 느껴지는 팀장과 인사를 주고 받았다. 문 하나를 사이에 두고 수업공간과 나누어 둔 곳에는 낮은 탁자위에 과자와 인스턴트 차가 마련되어 있다. 이런 곳에서 잽싸게 차를 타고 물을 끓이는 이는 언제나 내가 아니다. 나는 누군가에게 간식거리를 대접하는 일에 늘 굼뜨다. 나도 커피믹스를 하나 타 마셨다.
바닥은 따뜻했다. 다리를 모으고 앉은 노인들이 다리를 구부리고 있기 힘들다고 말한다. 나는 다리를 뻗으시라고 얘기했다. 저도 관절염이예요. 저도 이따가 뻗을거예요. 노인들이 쑥스럽게 웃는다. 수업이 시작되고 글쓰기 교재를 나눠드리자 글은 쓸 줄 모른다고 할머니들이 입을 모은다. 글 쓰란 소리를 하지 말라고 못을 박는다. 말로 하면 열권 이상도 얘기한다고 대답한다. 여기서 구술을 받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대부분 토박이들일테고 그들이 살아온 이야기엔 지역의 역사가 담겨 있을거다. 할머니들은 넓은 마당이라는 마을의 한 곳에 대해 말했다. 검색엔진이 알려주지 않는 넓은 마당이라는 곳은 예전에 공터가 있던 곳을 말하는 것 같았다. 나는 아이패드를 꺼내고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재빠르게 받아 적었다.
29년생부터 50년생까지. 무려 21년이나 나이차이가 나는 사람들이 “노인”이라는 이름으로 같이 묶였다. 이름, 나이, 고향, 서울에 언제 오셨어요? 라는 걸 가지고 자기 소개를 했다. 고향은 어디고, 서울엔 언제 왔고, 이 동네엔 언제 왔고, 지금은 어디에서 누구랑 살고, 이런 이야기를 하다 보니 일단 고생한 얘기가 먼저 터진다. 첫 만남부터 자기 이야기를 줄줄줄 늘어놓는 경우는 흔치 않다.
사별하고 혼자 지낸 할매는 왜 그리 많은가. 왜 옛 사람들은 남자들이 그리 일찍 죽었을까. 평균수명으로 남자들이 더 짧게 살다 간다지만, 내가 만난 노인들 중 젊은 시절 남편을 잃은 할매들이 꼭 몇 명씩 있었다. 스물아홉에 혼자되었다, 서른여덟에 혼자되었다는 할매들이 살아온 이야기를 한다.
6-70년대에 애 딸린 과부로 살던 사람들은 “안 해 본 일”이 없다. 자기가 할 수 있는 모든 범주의 돈벌이를 했다. 대부분은 장사다. 광주리를 이고 시장에 나가 팔아보는 걸로 시작을 한다. 여성들이 직장인으로 살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이 없었다는 얘기다. 아이들은 둘 이상이다. 집 가까운 곳에서 장사를 하면 아이들도 들여다볼 수 있고 동네에서 아이들끼리 잘 크기도 했다. 고등어를 떼어다 판다고 나섰다가 생선 아가미에 구더기가 낄 때까지 한 마리도 팔지 못해 그대로 버렸다는 얘기부터, 그 무거운 수박을 받아다가 리어카에 실어 판 얘기, 요즘은 가사도우미라고 하는 남의집살이, 아모레 화장품 장사, 미제장사, 일일이 나열하기도 힘든 각종 비정규직 노동의 직업이 등장한다. 그때는 직장이 있어서 월급을 받으면 살기가 편한 것이었고, 직장에 들어갈 수 없는 사람들은 그날 그날을 자신의 노동과 입담으로 해결해야 했다. 할매들의 이야기를 받아치면서 고생 많이 했다고 무용담 삼아 말하던 내 모친을 떠올렸다. 엄마 고생은 고생도 아니다 생각했다가, 비슷한가 했다가, 노동의 강도를 어디가 더 세다고 비교하는 것은 고통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과 비슷한가 뒤죽박죽이 되었다.
바닥은 따뜻하고, 머리는 차가운데 낮은 천장 아래 둘러앉아 있으니 이야기가 더 잘 나오는 것이겠다. 정면을 보고 앉는 교실형 구도와 둘러앉아 있는 구도는 한 장소내의 권력서열을 말해준다. 학교의 교실은 그 자체로 비민주적이다. 특정인에게 특정한 것을 배워야 한다는 압박은 사람을 유순하게 만드는 것인지 비겁하게 만드는 것인지 잘 모르겠다. 살아온 인생이 얼마나 다르고 얼마나 비슷한지를 말하는 자리에 높낮이가 있을 필요는 없다. 할매들의 이야기는 한 시간 반 동안 끊임없이 이어졌다. 29년생인데도 미모가 빼어난 할머니가 잘 안 들린다며 나를 보고 자꾸 웃는다.
– 예전엔 못 배우고 글 모르는 게 참 부끄르왔는데, 이제는 그런 거 없어. 살만치 살고 고생할 만치 다 했는데 멋이 부끄러. 안 부끄러인쟈.
– 못 배운 것보담도, 살다 보니 이뤄놓은 게 없어서 내가 참 부끄럽습니다. 어딜 가서 앉아 있으면 얼굴이 붉어지고 말을 잘 못하고 그럽니다. 나름대로 부지런히 살았는데, 어쩌다가 이래 되얏나 모르겠심다. 나는 생전 구경도 안 댕겨봤어요. 제주도도 못 가봤습니다. 그리 살았는데, 어찌 지금 사는 게 이렇습니다.
– 우리가 몇 번 봤어도, 이런 얘기는 오늘 처음입니다. 내 살아온 얘기를 누가 들어줍니까. 이렇게 말할 기회도 없었고, 나도 말해 본 적이 없는데 얘기 해보니 참 재미있고 좋네요.
허리가 적당히 굽은, 다리가 적당히 휜, 노인들이 주섬주섬 힘겹게 일어나 집으로 돌아간다. 나는 할매들을 보내며 신발을 확인한다. 신발 안 미끄러우세요? 추운데 잘 여미고 들어가세요. 나는 부러 살가운 척 한다. 때로는 옷깃도 여며드리고 신발을 신는 사이 들고 있는 커피잔도 들고 서 있는다. 배낭을 메고 길을 나서다 만 제일 젊은 어르신이 내 옆에 선다. 사잇문에 몸을 반쯤 기대고는 잘 뚜등긴다고 칭찬을 한다. 타자를 빠르게 친다는 말이다. 할매라 부르기 애매한 이 분은 붉은 모직 모자를 쓰고 서서 아들이 만나고 있는 여자 흉을 본다.
맘에 안 들어 죽것어. 그러실만 하겠는데요.
그래도 낼 모레 칠순인데 여기서는 막내시네요. 라며 웃으니 잇몸을 보이며 큭큭대고 웃는다.
사는 게 무셔. 나는 자다가 깨서 멍, 하니 있을 때가 많아. 여기 노인네들 봐봐. 내가 젤 어린데. 내가 이쟈 낼 모레 칠십이면, 팔십까지, 구십까지 살아야 허잖어. 죽지도 몬하고. 죽는 게 반갑지는 않을 것이고. 10년, 20년을 내가 어찌 견디나. 나는 사는 것도 무섭고, 죽는 것도 무섭고. 우울햐. 에이. 기분이 안 좋아. 어째 갈수록 사는 게 무서워.
사는 게 무섭다고. 나도 앞으로 얼마를 더 살지 모르는데, 할 일도 없고 갈 데도 없으면 앉은 자리가 그대로 무덤이겠지. 나도 사는 게 무섭다.
어르신들과 일별하고 돌아오는 길, 남대문을 향해 가는 수문장 교대식 행사행렬을 본다. 과거를 기억하려는 사람들의 몸부림이다. 어쩌자고, 왕조의 기억만 남겨두는가. 변변한 무덤없이 사라진 사람들의 과거는 모두 어디에 묻혔나.
남산을 돌아 해방촌으로 내려서며 지나가는 여자들의 얼굴을 훑는다. 나의 과거 어디메에서 그 때 그 모습 그대로 늙지 않고 있는 이태원언니들을 찾는다. 미제장사 했다는 할머니의 미소를 떠올린다. 역사의 과거에 돌아앉은 행촌동 골목길에서, 타인의 과거를 엿듣고, 나의 과거를 지나, 나의 미래에게로 돌아간다.
오늘따라 햇빛이 따가워 눈에 멍이 들 것 같았다.
ps. 근데 계속 가는데 마다 느끼는 건데, 아무래도 할매들이 날 좋아하는 거 같다. 아마 다 내 몸에 붙은 살 덕분이 아닌가, 마 그래 생각하고 있다.-
☆ 서울한겨레두레협동조합과 협동조합 은빛기획의 공동사업에 관한 기록입니다. 계속 쓸란지는 잘 모르죠 뭐.
2017. 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