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안에선 주로 CBS라디오 93.9를 듣는다. 탤런트 정애리가 애틋한 목소리로 안타까운 사연을 전하며 모금을 독려하는 월드비전 후원모금광고가 자주 나온다.
오늘은 젊은 부부의 사연, 아빠가 암에 걸려 항암치료중이고 엄마는 미용실 스텝인데 월수입이 600,000원 정도. 아이는 유치원에 다니는데 방과후 특별활동비를 내지 못해 특별활동 시간에 혼자 교실을 지킨다는 내용이었다.
불현듯 화가 솟구쳐 올랐다.
정애리 목소리가 울먹이는 듯 했고 그 톤으로 전화번호 읊는 걸 듣고 있자니 더 성질이 났다.
구호, 긴급구제가 필요한 이 사회 시스템에 화가 났다. 복지제도의 빈 칸을 국민들이 돈 모아 때우는 구조가 신물난다. 중국 공영방송에서 이런 행태를 자주 보이는데 극악한 상황에 내몰린 가족을 조명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모를 섬기고 살림을 도맡아 하는 어린이들을 미담으로 포장해 내보내는 것이다. 국가에서 해야 할 일을 “효도”나 “이웃에 대한 배려”로 뒤집어 사람들에게 강요하는 일, 그 사이에 대상화 되는 가난한 타자들, 테두리를 나눠 그 안에 사람을 넣어두고 여기는 불쌍한 집단이니 우리가 도와야 한다고 강요하는 국가의 폭력적이고 지능적인 사기에 모두가 놀아나고 있는 건 아닌가.
언제까지 모금으로 세상을 도울 수 있을까.
이제는 법안을 발의하고 행정소송을 내고 국회와 공조하여 제도를 바꿔낼 때가 되었다.
초대형화된 구호단체가 초등학교까지 진입해 “가난하고 불쌍한 이웃을 돕자”는 이야기는 이제 그만했으면 좋겠다.
“가난을 몰아내기 위해 제도를 바꿀 수 있다”는 희망이 필요하고 구호단체도 생각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여러 단체에 기금을 내고 있는데 이번에 좀 정리해서 참여연대로 돌려야겠다.
2016.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