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이 넘도록 각자의 문화권에서 살아온 사람들은 완벽한 이방인이다.
외국인과 결혼을 하는 것보다 더 어려운 이유는, 이 사람은 같은 언어를 쓰는 사람이니 어느 정도 나와 비슷하겠거니 하는 착각에 빠지기 쉽기 때문이다.
외국인과의 결혼은 이 사람은 나와 완전히 다른 문화의 사람이라는 것을 대전제로 깔고 시작하는 반면, 같은 국적과 같은 언어, 혹은 게다가 동향의 사람일 경우 나와 같으리라는 엄청난 착각을 대전제로 깔고 시작한다.
법륜스님의 말씀대로 부부는,
큰 일로 절대 싸우지 않는다.
말하자면 큰 일이 벌어졌을 경우, 그 어떤 집단과도 동일하게 내부에서 엄청난 단결력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경제적인 위기 상태에 빠지거나, 집안의 어떤 불우한 일이 발생했을 경우 외부의 침략으로 간주하고 전투적으로 뭉치게 되어 있다.
이는 아주 소규모집단인 가족에서도 일반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는 집단의 규칙이다.
아주 작은 일들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나와 같으리라는 착각”에서 시작된다. – 이 역시 법륜스님이 하신 말씀.
쓰레기통의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나는 쓰레기통을 화장실에 두지 않는 문화에서 나고 자랐다.
나의 모친은 재래식 화장실에서 벗어난 이후 절대 화장실에 쓰레기통을 두지 않았다.
불결하다는 게 그 주된 이유였으며, 수세식 화장실에서는 모든 휴지가 다 녹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녹지 않는 특별한 재질의 물품을 쓰지 않는 이상 아무 문제가 없다는 이유였다.
그리하여 나는 화장실에 쓰레기통을 두고 사는 것을 불결하게 생각하게 되었고, 독립을 해서 혼자 살 때도 절대 화장실에 쓰레기통을 두지 않았다. 쓰레기통은 외려 화장실의 바깥 좀 가까운 곳에 두고 그 곳에 가지고 나와 물건을 버렸다. 예를 들어 생리대나, 수채구멍에 쌓인 머리카락 같은 것들이 해당된다. 이것은 관습이 된다. 그리고 엄마의 주장은 대부분 자식들에게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고착된다.
반면,
남편은 화장실에 쓰레기통을 두고 사는 문화에서 나고 자랐다.
그리하여 독립을 하고서도 화장실에 쓰레기통을 꼭 두었다.
그 이유는 수세식 변기라 할지라도 변기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간혹 변기가 막히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뒷처리에 사용된 휴지는 반드시 따로 분리를 해서 버려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화장실에서는 절대로 변에 관련된 종이만 발생되지 않는다. 머리카락이나, 어떠한 물품을 뜯은 포장들이나 물기가 묻은 것들을 다른 쓰레기통에 버릴 때 오히려 벌레가 생기거나 집안 전체가 불결해질 수 있다. 그리하여 남편의 본가는 여전히 화장실에 쓰레기통이 있고 가사일에 늘 부지런하신 시어머니께서 수시로 화장실의 쓰레기통을 닦고 말리는 일을 해오셨다.
결혼을 하고 난 뒤 나는 화장실에 휴지통을 두지 않았다.
내가 그런 문화에서 나고 자랐고 아무 불편함을 느끼지 않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남편은 쓰레기통이 없는 화장실에서 당황했다.
여기서 문제는 내가 과연 나의 문화가 합당하기 때문에 그 주장을 관철하려고 하는 것이 진정성이 있는가다.
기실, 주부의 자리에 있던 엄마나, 그 자리를 이어받은 나도, 결정적으로, 화장실에 있는 쓰레기통을 비우고 싶지 않다는 게 합리적 논거보다도 훨씬 더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내 가족이라도, 내 새끼라도 쉽게 말해 “똥닦은 휴지”를 내 손으로 치우는 일이 싫다는 것이다.
희생이라고 생각하거나 쓸데없는 집안일을 더 만든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이것은 모두 “하기 싫은 마음”에서 비롯되는 여러가지 합리화의 근거들이다.
다시 생각해보면,
나는 화장실에 쓰레기통이 있거나 없거나 당황하거나 불편해하지 않는다.
그러나 남편은 화장실에 쓰레기통이 없으면 매우 당황하고 불편해한다.
나는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데, 남편은 있어야 한다면, 둘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화장실엔 있는 게 맞다.
여기서 내가 나의 진정한 마음의 욕구 “똥 닦은 휴지를 내가 치우고 그 냄새나는 쓰레기통을 내가 닦고 씻고 말려야 하는 일을 하고 싶지 않다”는 것을 더욱 강하게 관철했다면-
우리 부부은 매우 추접스럽고 민망한 소재인
“화장실에서 똥닦은 휴지를 왜 수세식 변기에 버리지 않고 별도의 쓰레기통에 따로 보관하느냐” 에 대해서 24시간 이상을 싸웠을 것이다.
아주 사소한 것들의 이유는 이러하다.
대부분, 내가 옳다고 주장하고 싶기 때문이고, 그 마음의 근간엔, 내가 옳다고 주장하는 것에 상반되는 작업을 “절대로 하고 싶지 않은” 아주 견고하게 굳어버린 자아의 욕구가 뿌리 내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 뿌리를 걷어내는 작업은 평생에 걸쳐 지난하게 지속될 것이다.
(우리는 결혼 이후 내가 곧 화장실에 쓰레기통을 비치하는 것으로 별 갈등없이 마무리되었지만 그 외에도 각종 매우 사사로운 것들로 끊임없이 갈등하게 되는 것이 동거인들 사이의 문제다)
왜 안되는가,
왜 용납하고 싶지 않은가에 대해서 끊임없이 생각한다.
그 중에 어떤 것은 나의 욕구와 상관없이 나의 양심이나 신념에 기반하는 것들도 있고 그 중에 어떤 것들은 철저히 나의 욕구에 기초하는 것들도 있다. 이런 것들을 분별해 내는 과정은 쉽지 않으나, 내 마음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가장 좋은 소재들이 된다.
2012. 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