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생쑈 1기 온라인강좌 수강생 모집

2013년부터 진행해 온 다양한 계층과 연령의 강좌 노하우를 바탕으로 생애사쓰기에 관심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강좌를 유료로 처음 개설합니다. 늘 사회복지시설에서만 수업을 하다보니, 일반 참여자와 만날 기회가 적었습니다. 코로나팬데믹으로 온라인강좌가 확대된 만큼, 온라인강좌를 요청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개설해봅니다.

개인이 부담하는 유료강좌를 처음 열게 되어, 설레기도 하고 걱정되기도 합니다.

그간 공공기관과 취약계층대상으로만 진행해 온 생애사쓰기를 더 많은 분들과 함께 만들어보고 싶습니다. 개인의 기록을 모아 공동체의 기록이 될 수 있도록, 세상속으로 들어가고자 합니다. 각 기수의 성과물과 참가자 의지에 따라 소량의 책자제작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각 지역에서 생애사쓰기 강좌에 참여할 수 있도록 ZOOM으로 진행합니다.
기초과정을 수료하신 분만 심화과정에 입문하실 수 있습니다. 2021년에는 기초과정에 이어 여름부터 심화과정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강좌는 최대 인원 12명입니다. 선착순으로 마감합니다. 

  • 강좌 내용 
  • 민중기록의 필요성
  • 내 삶을 말하는 다양한 방식
  • 듣는 자의 자세
  • 내 삶의 주제 찾기
  • 지겨운 이름, 가족
  • 그 외 글쓰기 개요, 주제잡기, 나의 생애사쓰기 요령과 습작, 첨삭지도 
  • *합평은 없습니다. 이 글쓰기 수업은 비판없이 칭찬과 격려, 위로가 핵심입니다. 

세부 커리큘럼은 강좌 신청자에게만 제공합니다. 
신청이 마감된 후 첫 수업, 오리엔테이션에서 알려드립니다. 수강신청란에 상세한 내용을 적어주시면 세밀하게 맞춤강의를 준비하고자 합니다. 

  • 미리 알려드립니다. 
  • 참가자는 수업 녹음 녹화 불가합니다.
  • 타인의 스토리를 훔치지 않습니다.
  • 타인의 개인적 이야기를 동의없이 SNS에 게시하지 않습니다.
  • 다수의 수업에 방해되는 행위를 지속할 경우, 참가자의 동의를 얻어 수강자격을 박탈할 수 있습니다.
  • 과제는 강사와의 약속이 아니라 자신과의 약속입니다. 과제를 못했다고 결석하지 않습니다. 자리를 지키는 게 중요합니다.
  • 자기 이야기 공개가 꺼려질 경우 강사와 논의하여 조절합니다.
  • 강사는 참가자가 요청하는 학습자료를 성실히 공유합니다.   

아래 구글폼에서 강좌신청을 입력해주세요

강사 간단 이력 – 이하나

  • 생애사쓰기 강사, 집필노동자, 교육활동가
  • 2015-현재 경기도, 안양시 민주시민교육 협력사업 진행 및 강의
  • 現 문화공동체히응 대표, 지역교육네트워크 이룸 대표
  • 2013-2015 안양시 노인종합복지관, 율목생협조합원, 안양시 수리장애인종합복지관 장애인가족과 당사자 생애사쓰기 (강의, 출간진행)
  • 2016-2020 서울시·은빛기획 노인복지사업 내 삶 쓰기 보조진행, 서울 중림종합사회복지관 생애사쓰기, 동대문구 마을도서관 기억노트 쓰기, 수리장애인종합복지관 발달장애인청년 생애사쓰기, 안양시 평촌도서관 “보통사람들의 특별한 생애사” 진행중, 경기도 양주 회천노인복지관 노인생애사쓰기 진행, 성수종합복지관 내 삶 쓰기, 안양시 장애인부모회 “장애가족으로 산다는 것” 등 생애사쓰기 관련 다수 기획 진행 (강의, 출간진행)
  • 저서 『포기하지 않아, 지구』(빨간소금, 2018) / 『태안환경보건센터 12년의 기록』 (태안환경보건센터, 2020)
  • 공저 <전선을 건너온 삶의 여로에서> (공저, 은빛기획, 2018) / <죽음이 삶에게 안부를 묻다) (공저, 검둥소, 2019) / <코로나팬데믹과 한국의 나아갈길> (공저, 창비, 2020) / <재난은 평등하지 않다> (공저, 교육공동체 벗, 2020) / <민주학교의 탄생> (공저, 생각정원, 2021)
  • 연재 <작은 책> 살아온 이야기 (2017-2018) / 서울시NPO지원센터·카카오같이가치 <퍼스트펭귄 스토리> (2018) / 민중의 소리 <한 사람 이야기> 2019~현재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