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 시드니 폴락 감독의 The way we were
바브라 스트라이잰드와 로버트 레드포드가 주연이다.
멜로영화로 알고 있었던 게 잘못이다.
이 영화는 멜로가 아니라 정치영화다.
영화의 배경은 매카시즘이 미국을 뒤 흔들던 1950년대.
그들이 다시 만난 시점이다.
그들이 대학생이었을 때는 스페인 내전이 한참이었다.
스페인 내전은 1936년에 시작되어 39년에 종결되었다.
조지오웰이 작가로 활동하며 내전에 참가해 “카달로니아 찬가”를 쓴 시대다.
케이티(바브라 스트라이잰드)는 쉽게 말해 운동권이다.
진보정치의식을 가진 그녀는 늘 바쁘게 살며 생계를 유지하고
끊임없이 글을 쓰고 집회를 주도하기도 한다.
그에 반해 허블 가드너(로버트 레드포드)는 어찌보면 도련님, 어찌 보면 평범한 일상을 사는 대학생이다. 인생을 즐겨. 라는 모토로 모든 것을 너무 쉽게 얻는 Americanism의 상징. 글재주가 좋아 교수에게 인정받고 결국 훗날 작가가 되는 인물이다.
 |
집회를 이끄는 대학생때의 케이티 |
사랑엔 국경도 없다고 했던가.
인생관이 다른 두 사람이 사랑을 하게 되고 몇 차례의 고비를 넘기며 결혼까지 골인한다.
두 사람은 30대가 되어 케이티는 내조를 하는 주부가 되고 허블은 헐리우드의 시나리오 작가가 된다. 케이티의 정치적 성향도 조금 누그러지는 듯한 시대가 왔을 때 매카시 열풍이 불어닥치고 헐리우드의 10인 사건에 케이티가 결국 개입한다.
끊임없이 충돌하는 두 사람의 정치관은 두 사람의 세계관이다.
케이티는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 싶어하지만
허블은 그래봤자 똑같은 인간들이고 누군가 희생타가 되어 감옥에 가고 삶을 잃고 그러다 설령 그들이 다시 복귀해 삶을 살아가더라도 추잡하고 이기적인 권력자로 부활할 것이라고 냉정하게 말한다. 허블은 세상은 변치 않아 인간은 원래 그런거니까 – 라는 세계관을 갖고 있고 케이티는 우리는 늘 싸워야 하고 그래서 세상을 바꿔야 한다고 생각한다.
양립할 수 없는 보수와 진보.
이 둘은 삶의 영역보다 사상의 영역이 훨씬 더 컸던 조합이다.

케이티는 허블을 만나기 전 생활인이 되기 위해 곱슬머리를 펴고 허블의 요구에 맞춰 정치적 행동도 줄이지만 정치는 그들의 삶에 끼어들고 다시 케이티가 나서게 된다.
정치에 관심이 없다 하더라도 정치는 언제나 우리의 삶을 조정하게 되어 있다.
보수와 아메리카니즘의 아이콘인 허블은 케이티와 헤어지고 좋은 승용차를 타고 TV쇼의 작가가 된다. 케이티는 그 앞에서 반핵운동을 전개중이다. 머리는 펴지 않고 다시 곱슬머리인 채. 그들은 헤어진 대신 그들 본연의 삶으로 돌아간 것이다.
이 영화를 보면서 얼마전 인기리에 종영한 시크릿 가든을 떠올렸다.
김주원은 허블과 유사한 인물이다.
부잣집 도련님에, 모든 것을 쉽게 얻고 정치나 생활엔 아무 관심이 없다.
그저 백화점의 매출, 잘 나가는 인생에 관심이 있을 뿐.
뭐 길라임이 케이티를 반영하진 않는다. 그녀는 그저 너무 가난해서 정치색채 같은 것을 생각할 여유조차 없고 매일 매일 먹고 사느라 바쁠 뿐이다.
그렇다고 이 영화를 시크릿 가든에 대조하는 것은 무리이다.
보수와 진보는 각자의 갈 길을 인정하고 같이 한 세상을 살아나가는 것만으로도 최고의 조화를 이루는 것인지도 모른다.
여기서 로버트 레드포드가 분한 허블이 바로 미국 그 자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반영한 아이콘적인 인물은 누구일까라는 생각을 했으나,
90년대 최진실, 이후 장동건, 배용준, 이영애, 심은하 등을 거쳐
이명박 정권에서의 아이콘 적인 인물이 누구인지 고심했다.
트윗을 올려 의견을 받아본 바, 현빈, 이외수, 이효리 정도가 물망에 올랐다.
이번 주민투표를 거치면서 딱 현빈이 분한 김주원 같은 아이들이 투표율 높은 지역에 참 많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그가 정말 시대를 반영하는 아이콘이라면, 이는 매우 난감하다.
80년대의 대표주자는 반항아의 상징, 이덕화(지금은 정반대로 움직이고 있지만), 최재성, 최민수 등이었다고 생각한다. 그 때는 반항의 정서가 있었다. 연예인과 당대 가요는 시대를 반영한다. 7080을 지배한 정서는 반항이었다. 그만큼 정부에서 내리누르는 게 심했기 때문이기도 하겠다.
지금은 풍족한 자들은 풍족하고 가난한 자들은 내몰리고 풍족한 것이 상징이 되고 뭇사람들에게 동경이 된다. 줄줄이 쏟아지는 신데렐라 드라마와 패륜과 불륜이 빠짐 없이 등장하는 막장 드라마와 곱상한 이미지의 이승기나 현빈이 주가를 올리는 것은 이 사회가 그만큼 쌓아올린 부를 지키기 위한 보수층으로 포위되어 부유층이 아닌데도 거기에 멍청하게 끌려가는 당나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는 반증일지도 모른다.
윤리와 도덕은 땅에 떨어지고 좋은 유전자를 타고 태어나 삼신할미 랜덤에 걸려 곱게 살아가는 계층이 인기 있다는 것은 그만큼 이 나라가 진보할 가능성이 적다는 뜻이기도 하다.
내가 보기엔 좀 암담하다.
경쟁하고 떨어뜨리고 밟고 올라서야 하는 게 트렌드가 아니라 정설이 되었다.
우리가 살아왔던 The way we were는, 묘연하게 행방을 감춘 것은 아닐까.
2011.8.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