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보리 국어 바로쓰기 사전

보리사전.jpg

 

민중서림에서 나온 국어사전을 가지고 있다.
단어만 나열한 사전은 수록된 낱말의 숫자로 승부를 보는 모양이다.

이번에 새로 나온 보리 국어사전은 수록어휘가 많은 사전은 아니다.
허나 책상 위에 쌓아두고 펼쳐보기도 힘든 초대형 국어사전과 다르다.

1. 외관
1) 펼쳐볼 만한 두께.
예전에 쓰던 시사엘리트영한사전이나 코빌드 영영사전 정도의 두께이고 무게는 그보다 약간 더 나간다. 종이가 영한사전 종이보다는 조금 더 두껍다.
2) 내지 디자인이 보기 좋다.
노안이 오기 시작한 40대도 볼 만한 글자크기로 일반 단행본보다는 작은 글자이지만 시원시원하게 잘 편집했다. 주제어는 더 크게, 그에 대한 설명은 조금 작게 구성되어있다.
3) 예쁘다.
하앍.
사전도 예쁠 수 있다.

2. 내용
1) 한 눈에 구분할 수 있는 편집
틀린 말 앞에는 연한 보라색으로 X가 표시가 되어 있다.
2) 필요한 정보만 넣는다.
모든 단어에 발음표시가 된 게 아니고 주의해야 할 낱말에만 있다.
관련된 복합어, 관용표현, 속담, 타동사형 등 낱말별 유의할 점이 낱말마다 다르게 수록되었다.
3) 뜻을 잘못 아는 말, 구별하는 게 좋은 말 표시
사람들이 흔히 틀리게 쓰는 말을 구별해놨고, 깊은 의미를 잘 몰라서 정확하게 쓰지 못하는 말도 설명했다. 예를 들어, 감추다와 숨기다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4) 활용 설명
접두사나 용어활용에 대한 설명을 박스 안에 다시 설명해 국어공부가 가능하다.
5) 부록이 압권
조사, 어미, 발언, 용언활용표가 실려 있다.
이거만 봐도 국어문법에 어느 정도 자신감이 붙을 듯

아 이 사전 좀 사라 사람들아.
이렇게 훌륭한 사전이 8만원 밖에 안 한다.

 

2017년 1월 10일

 

옛이야기속의 계모

매일 하나씩 읽어주는 옛이야기보따리.
아이가 재미가 붙었는지 읽어달라고 한다.
오늘은 계모얘기를 읽었는데,

생각해보니 전통설화/신화/전래동화 , 즉 옛이야기에 등장하는 계모들은

1. 어느 날 갑자기 집에 들어오고
2. 아버지와의 애정관계는 불분명하며
3. 계모가 등장함과 동시에 아버지는 사라지거나 역할이 미미해지거나, 생계를 책임지느라 자식을버려두고 계모에게 양육을 맡긴다.
4. 이를테면, 새로 들어온 계모들의 역할은 한 여성으로서가 아니라 보모 및 육아담당으로 들어오고, 밥벌이는 하지 않는다.
5. 다시 말하면, 아내가 없는 홀아비는 계모를 들여와 생계를 해결해주고 보육을 맡기는 기능으로 “사용” 하는 듯 보인다.
6. 여권신장따위 개도 안 물어갈 소리였던 전근대 사회에서 부계사회와 일부일처제였던 사회적 제도에서 홀로된 여자가 자식을 키우는 일은 경제적 궁핍이 당연했으되
7. 경제적, 사회적 활동을 활발히 해야만 했던 홀아비들은 육아를 전혀 담당할 수 없었기 때문에
8. 이렇게 짝을 잃은 남과 여는 단순한 계약관계 및 자식육성을 위해 결합하는 새로운 공동체의 형태를 띈다.
9. 가족이라고 보기도 어려운 것이
대부분 이런 이야기에 임무로 수여받은 “남자의 자식”에 대한 육아를 게을리 하는 계모들은 그 사실이 발각되면 곧 쫒겨나고 만다.

말하자면 옛이야기에서의 계모는 그저 밥술이나 얻어먹을 수 있는 새로운 취직자리를 얻어 자기 자식을 데리고 “주거이동”을 하게 되는데, 아버지는 늘 밖에 나가 있으니 “부부”의 기능을 한다고 보기 어렵다.

새로운 일자리는 홀아비의 아이를 키우는 일인데 그 일을 게을리 하였으므로 당연히 해고되는 것이다.

옛이야기에 등장하는 계모들은 계모가 아니라 그저 새로 들인 보모를 계모라고 통칭하였던 것은 아니었던지. 다르게 생각해보면 이런 입으로 전해지는 이야기속의 “새어머니”라는 존재는 “아버지와의 관계는 무관한”, 그저 양육을 맡았기 때문에 “어머니”라는 이름을 잠시 빌려쓴 것은 아닌지.

그런 생각을 했다.

888970_583307958347598_1937032352_o

이 책은 보리출판사에서 나온 서정오선생님의 글모음인데 이야기가 구어체로 되어 있어서 마치 아이에게 옛날이야기를 해 주는 것 같이 읽어줄 수 있다. 옛날 이야기를 머리맡에서 해주는 게 중요하다 싶어서 아이가 어릴 때는 이솝우화나 삼국유사를 다시 읽고 내가 이야기를 가공해 해주기도 했는데 이 책을 읽어주는 건 게으른 방법이긴 하지만, 워낙 우리말을 맛깔나게 잘 쓰시는 분이기 때문에 마음이 놓인다.

7살까지만 해도 잘 이해하지 못했는데 올 초부터 부쩍 매일 하나씩 읽어달라고 하고 있다.

읽다보면 아이가 잘 모르는 입말의 낱말들이 상당히 많이 나와서 우리의 옛풍속, 즉 장작이 한 짐, 쌀이 천 석, 이런 표현이 나오면 질문이 술술술 이어진다.

이 중 “두꺼비서방님”이라는 옛이야기는 허물을 벗고 근사한 낭군이 된 두꺼비의 허물을 태워버린 색시가 서방님을 찾아 갖은 모험을 다 하는 이야기인데, 우리나라 이야기로도 충분히 <반지의 제왕> 못지 않은 대형 스펙타클 서사 판타지 영화가 가능할텐데..라는 상상을 해봤다.

2013. 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