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확한 방향과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는 건 본인의 신념이 갈 곳을 잃어서가 아닐까.
자기 욕망에 솔직하지 못한 사람은 그 욕구가 부끄럽기 때문일까. 그래서 자꾸 덧칠하고 가면을 쓰려고 하는 걸까. 볼 때마다 알 수 없는 사람이 되는 걸까.
들여다 보이지 않는 사람은 알 수 없는 사람이 된다. 사람들을 알 수 없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해 불안과 위협을 느낀다. 알 수 없는 사람, 모호한 사람에게 우리는 의심이라는 꼬리표를 붙이곤 한다.
신뢰를 얻지 못한 이 모호한 사람은 계속해서 자기를 주목하라는 고양이처럼 꼬리를 바짝 세우는데, 거기에 달린 꼬리표에는 “알 수 없으니 조심할 것” 이라 적혀 있곤 하다.
안타까운 일이다.
2013. 8. 20.